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들어가며
클래스파일을 생성할 때 BoardDTO 또는 BoardVO 라고 쓰는 것 같다.
자료를 검색해서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DTO 또는 VO로 중구난방인데
정확히 뭘 의미하는지 검색해보고 블로그 설명 1페이지꺼 읽어보고 정리해보았다.
VO
Value Object의 첫 글자를 딴 약자로 VO는 그냥 값 그 자체이다. 대신에 불변 값이다.
예를들어 게시판을 저장한다고 할 때 이 VO 클래스를 사용한다.
public class BoardVO {
private Long bno;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rivate Date regdate;
}
게시판의 값 그 자체이다. 보통의 데이터베이스의 칼럼과 VO 객체는 같다고 보면 된다.
DTO
Data Transfer Object 의 첫글자를 딴 약자로 DTO는 단어 의미 그대로 계층간 데이터 전송
시에 사용되는 객체이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REST API 서버에서 요청을 하거나 요청을 받을때, 또는 ajax같은 비동기 요청을 할때 DTO 클래스를 사용한다. 다 그런거는 아니지만 보통 그런식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게시판을 예로들면 게시판 조회할 때 BoardVO 객체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해도 되지만
게시판에 관한 내용만 말고 다른 내용도 같이 추가로 전송 해줘야할 때 DTO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된다.
결론
다들 얘기하는 결론이 어차피 둘다 비슷하다고 한다. 조금 차이점이라면 VO 객체는 불변의 성격을 가지지만 DTO는 가변의 성격을 가진다. 거의 혼용되어서 사용되기때문에 프로젝트 내 성격또는 회사 스타일에 맞춰서 개발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댓글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TAG
- Mac
- claude
- Spring Security
- window
- k8s
- svn
- 오라클
- input
- 베리 심플
- localtime
- maven
- elasticsearch
- LocalDate
- mybatis
- JavaScript
- LocalDateTime
- rocky
- Bash tab
- jQuery
- docker
- oracle
- 북리뷰
- Kotlin
- intellij
- Spring
- mybatis config
- Java
- springboot
- Linux
- config-locatio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