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부 나는 어디에 있는가
태도 1. 두려움을 통제하는 자가 위기를 통제한다 #두려움
태도 2. 혐오는 문제 해결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혐오
태도 3. 외로움은 위기가 주는 선물이다 #외로움
두뇌는 우리 몸 전체를 컨트롤하는 3층짜리 통제실이라 할 수 있음.
1층의 이름은 뇌간 체온, 소화, 수면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작용을 담당
2층의 이름은 변연계. 희노애락 등 우리가 느끼는 감정을 담당함.
3층의 이름은 대뇌피질. 신체 감각이나 운동을 처리하며, 인간 고유 기능은 이성적인 판단이 여기서 처리됨.
2층과 3층은 상호 배제 관계임. 2층이 일하면 3층이 일을 못하고 3층이 일하면 2층이 일을 못함.
감정과 이성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기가 쉽지 않은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음.
두려움은 실천을 통해서만 사라진다. 일부러 일이 잘 풀리는 장면을 머릿속에서 상상하는 연습을 하면 큰 도움이 된다.
호흡을 관찰하는 것만으로 두려움을 끊는데 효과적이다. 호흡을 관찰할 때 집중을 담당하는 3층 대뇌피질이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온통 2층 변연계에 쏠렸던 주도권이 관찰을 통해 3층으로 넘어온다. 이로 인해 겁먹은 마음이 진정되면서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삶에서 위기는 바닷가의 파도처럼 반복해서 찾아온다. 그날이 오면 사회적 동물인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또 외로움의 중력에 잡아 끌리게 될 것이다. 외롱무이 가져오는 통증, 무기력, 심리적 위축은 언제든 발이 빠질 수 있는 진흙탕이다. 하지만 두려움이나 혐오와는 달리 외로움은 그 자체가 기회의 신호이기도 하다. 혼자 존재하는 시간은 축적과 몰입과 재충전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외로움은 엄청난 기회다. 다만 기회라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만 그렇다.
2부 어디로 갈 것인가
태도 4. 진정한 나 자신에게 이르도록 키를 잡아라 #성찰
태도 5.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자에게 위기는 위기일 뿐이다 #기회
태도 6. 보이지 않는 책임을 다하는 자가 진정한 리더이다 #책임
경계선이라 여긴 많은 것들은 나의 실제 경계선이 아닐지도 모른다. 진짜 경계선은 직접 시도하고 경험하기 전에는 알 수 없다. 그것이 어디에 있든, 적어도 스스로 미리 생각해 둔 나의 경계보다는 더 멀리 있음이 확실하다. 경계가 어디인지 경솔하게 단정 짓는 대신, 직접 부딪혀 확인해 보겠다는 태도가 더 커다란 나를 만나게 해 줄 것이다.
기회의 신 카이로스의 조각상에 쓰여져 있는 말.
내 앞머리가 무성한 이유는 사람들이 나를 보았을 때 쉽게 붙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고, 내 뒷머리가 대머리인 이유는 내가 지나가고 나면 다시는 나를 붙잡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어깨와 발에 날개가 달린 이유는 최대한 빨리 사라지기 위함이다. 나의 이름은 기회이다.
위기는 곧 기회라고 하지만 그 기회를 거머쥘 행운은 아무에게나 오지 않는다. 평소에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 본질에 집중할 줄 아는 사람, 당당하게 돌파하려는 용기가 있는 사람에게만 행운이 언뜻 모습을 비출 뿐이다. 그러니 지체하거나 주저하지 말고, 정면으로 위기와 맞서야 한다. 카이로스가 스쳐 지나간 사람에게 위기는 그저 위기일 뿐이다.
3부 무엇을 할 것인가
태도 7. 회복력이란 배우고 기를 수 있는 역량이다 #회복력
태도 8.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최소한의 행동부터 시작하라 #변화
태도 9. 불안의 1시간을 땀 흘리는 60분으로 채워라 #체력
회복력이 큰 사람이나 조직은 위기 속에서도 다른 움직임을 보인다. 현명한 대처로 피해를 줄이며, 절망하는 대신 가능성을 모색하려 한다. 잠시 흔들리더라도 금세 딛고 일어설 뿐만 아니라 그것을 계기로 더 강한 시스템을 갖추어 나간다. 회복력도 위기를 딛고 회복하면서 키울 수 있다.
현실을 직시하고 확실히 받아들일 마음의 자세가 된 사람들만이 넘어져도 일어날 수 있다.
현실을 직시한다는 것은 낙관적으로도 비관적으로도 보지 않고 좋은 면만 보거나 나쁜 면만 보지 않고, 자신의 입장이나 현재의 바람에 치우 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똑바로 본다. 현실 직시를 바탕으로 그다음에 취할 것이 긍정적 태도다. 무턱대고 미래를 낙관하는 것이 아니라, 명료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긍정적 가능성에 집중한다는 점에서 순진한 낙관주의자의 태도와는 다르다. 긍정적 태도를 한 문장으로 정리해 보자면 "이미 일어난 모든 일은 잘된 일이다."
어떤 고통에도 의미는 있다. 어떤 심각한 고난이라 할지라도 그 안에서 의미를 찾는 것은 가능하다. 지금 겪는 시련과 고통이 작은 의미조차 찾을 수 없는 무가치한 고통이라 여겨지면 스스로 질문을 해보자. 이 질문을 던지고도 의미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만약 내가 이 위기를 이겨낸다면, 이로 인해 나는 나중에 어떤 선물을 받게 될까?"
두 사람에게 담배를 권했을 때 돌아온 답이 각각 다음과 같았다고 한다면 누가 앞으로도 담배를 태우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을까?
- 저는 담배를 끊었습니다.
- 저는 비흡연자 입니다.
답은 후자다. 전자는 행동 차원의 답인 반면 후자는 정체성 차원의 답이기 때문이다.
정체성은 나는 어떤 사람이라는 믿음이다. 행동이 반복되면 습관이 되고, 습관이 깊어지면 정체성이 된다.
어떤 행동이 정체성으로 깊어지면 더 이상의 동기부여가 필요치 않다. 두뇌의 저항 역시 최소화된다. 나는 원래 그런 사람이니까 나라는 사람에 맞는 행동을 할 뿐이다. 위기에 필요한 것은 변화하는 사람이라는 정체성이다.
정체성을 뜻하는 단어 아이덴티티(Identity)는 반복적으로(identidem)와 실재하다(essentitas)라는 듯의 라틴어로부터 나왔다. 반복된 실재가 정체성을 형성하는 핵심인 것이다. 매일 글을 쓰다 보면 작가가 되고, 매일 사업을 하다 보면 사업가가 되듯이, **매일 아주 작은 변화를 시도하고 경험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변화하는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
뇌과학적으로 강도 높은 운동을 했을 때 업무의 효율이나 생산성이 훨씬 좋아진다.
운동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도저히 이겨낼 수 없는 문제를 마주하여 고민 중일 때는 의자에만 앉아 있을 것이 아니라 일어나서 땀부터 흘려야 하는 이유다. 불안 속에서 보내는 1시간을 땀 흘리며 달리는 60분으로 채워라.
4부 그리고 어떻게 살 것인가
태도 10. 도저히 기꺼워할 수 없는 시련마저 감사하라 #감사
태도 11. 내가 가진 모든 집중력을 지금에 집중하라 #시간
태도 12. 당신의 눈앞에 놓인 위기를 사랑하라 #사랑
좋은 것을 자기 자신 속에 영원히 간직하려는 행위, 사랑이 두려움과 좌절로부터 우리를 구원할 수 있는 이유도 이 정의 안에 있다. 어려움 속에서도 사랑을 잃지 않는다 함은,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위기조차 사랑한다 함은, 위기를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다. 아무리 고통스럽더라도 그 안에는 반드시 좋은 것이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좋은 것을 발견하려는 노력을 그치지 않으며, 끝내 좋은 것을 찾아내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는 것이 바로 위기를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는 태도다.
에필로그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늘 그랬듯이
절판되어서 ebook 링크로 대체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2433355
[전자책]태도 수업 - 예스24
벼랑 끝에서 운명의 흐름을 바꾸는 생존 인문학“잠도 못 이룰 만큼 인생이 휘청이고 있다면 태도를 바꿔야 한다.”인생의 위기를 마주했을 때 어떻게 하면 그 무게에 짓눌리지 않을 수 있을까?
www.yes24.com
- Total
- Today
- Yesterday
- input
- maven
- 베리 심플
- config-location
- LocalDateTime
- intellij
- oracle
- jQuery
- mybatis config
- Kotlin
- JavaScript
- rocky
- Spring
- LocalDate
- 오라클
- k8s
- localtime
- svn
- elasticsearch
- 북리뷰
- mybatis
- docker
- Mac
- window
- Bash tab
- Java
- claude
- Linux
- springboot
- Spring Securit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